사업분야
위험성평가
위험성평가란?
사업장에 존재하는 잠재적인 유해위험요인을 파악하고 해당 유해위험요인에 의한 부상 또는 질병 등의 발생 가능성과 중대성을 추정 결정하고 감소 대책을 수립하여 개선하는 등의 과정을 지속적으로 실행하는 것.

PSM 공정의 주요 위험성평가 기법
1. 정성적 위험성평가 기법
- 위험과 운전분석(HAZOP : Hazard and Operability Studies)
- 공정안전성 분석(K-PSR : KOSHA Process safety review)
- 작업안전분석(JSA : Job Safety Analysis)
2. 정량적 위험성평가 기법
- ALOHA
- e-CA
- KORA
위험성평가 기법
1. 위험성평가 실시주체 - 사업주
- 안전보건관리책임자
- 관리감독자
- 안전관리자, 보건관리자
- 해당 공정 근로자 참여

2. 위험성평가 수행절차
사전준비
실시계획서 작성, 평가대상 선정,평가 필요한 각종 자료 수집
유해위험 요인파악
사업장에서 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유해·위험요인이 무엇인지 빠짐없이 찾아내는 과정
위험성 추정
유해 위험요인 가능성 및 중대성 크기 추정, 산출
위험성 결정
유해위험요인별 위험성 추정 결과와 위험성이 허용가능 여부를 결정
감소대책수립
허용불가능한 위험성에 대한 대책을 수립하여 실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