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업분야
폭발위험장소 설정
폭발위험장소의 구분 목적
폭발위험장소 구분은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발생할 수 있는 환경을 분석하고 분류하여 해당 환경에서 기기의 적절한 선정,
설치 및 운전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기기를 안전하게 사용하도록 하는 방법이다.
또한 이 구분은 점화 에너지와 발화온도와 같은 가스 또는 증기의 점화 특성을 고려한다.
폭발위험장소 구분은 두 가지 주요 목적, 즉 폭발위험장소 종별과 그 범위를 결정하는 것이다.

폭발위험장소 구분 시 주요 인자
1. 희석등급
- 고희석(High dilution)
- 누출원 인근의 농도가 빠르게 감소하고 누출이 중단된 후에는 사실상 지속되지 않는다. -
중희석(Medium dilution)
- 누출이 진행중에는 안정적인 폭발위험장소 경계에서 농도가 제어되며 누출이 중단된 이후에는 과도한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지속되지 않는다. -
저희석(Low dilution)
- 누출이 진행되는 중에는 상당한 농도가 유지되고 누출이 중지된 이후에도 폭발성 가스 분위기가 상당기간 지속된다.

2. 환기이용도
환기 이용도의 3가지 등급은 다음과 같다.
- 우수(good) : 환기가 실제적으로 지속되는 상태
- 양호(fair) : 환기가 정상작동 중에는 지속된다고 예상되는 상태. 빈번하지 않은 단기간 중단은 허용된다.
- 미흡(poor): 환기가 양호 또는 우수 기준을 충족하지 않지만, 장기간 중단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되지 않는 상태

3. 폭발위험장소 구분 데이터 시트


